출처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상속세등부과처분취소
[대법원 1994.11.11, 선고, 94누5359, 판결]
【판시사항】
가. 상속재산을 협의분할한 경우 상속인이 납부하여야 할 세액
나. 국내거주자가 아닌 피상속인의 상속재산 중 국내에 있는 재산을 가지지 않기로 협의분할한 상속인에 대한 상속세 과세처분이 위법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상속세법 제18조 제1항에 의하면, 상속인은 상속재산 중 각자가 받았거나 받을 재산의 점유비율에 따른 상속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각 상속인은 민법 소정의 상속분 비율에 의한 상속세를 납부하여야 할 것이나 공동상속인 사이에서 협의에 의하여 상속재산을 분할한 경우에는 그 분할비율에 따라 상속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나. 국내거주자가 아닌 피상속인의 상속재산 중 국내에 있는 재산은 국내상속인들이, 국외에 있는 재산은 국외상속인들이 각 가지기로 협의하였다면, 상속세법 제2조 제2항에 의하여 국내에 있는 상속재산에 대하여서만 상속세를 부과할 수 있으므로 총세액은 국내에 있는 상속재산을 기준으로 산출하여야 하고 이는 국내에 있는 상속재산을 가지기로 한 국내상속인들이 납부하여야 할 것이라는 전제 아래 국내상속인들에 대한 과세처분은 그 법정상속분 비율에 따라 계산한 세액을 초과하는 부분이 위법하고, 한편 국외상속인들에 대한 과세처분은 전부 위법하다고 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가.나. 상속세법 제18조 제1항 / 나. 상속세법 제2조 제2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6.2.25. 선고 85누962 판결(공1986,566)
【전문】
【원고, 피상고인】
구갑주 외 5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황주명 외 1인
【피고, 상고인】
영등포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3.23. 선고 92구3601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기록에 의하여 살펴 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실에 터잡아 소외 망 김경식은 국내에 생활근거를 둔 국내거주자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에 위배하고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사실을 오인하였거나 상속세법 제2조, 같은법 시행령 제1조의2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상속세법 제18조 제1항에 의하면, 상속인은 상속재산 중 각자가 받았거나 받을 재산의 점유비율에 따른 상속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각 상속인은 민법 소정의 상속분 비율에 의한 상속세를 납부하여야 할 것이나 공동상속인 사이에서 협의에 의하여 상속재산을 분할한 경우에는 그 분할비율에 따라 상속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할 것이다(당원 1986.2.25. 선고 85누962 판결 참조).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위 망 김경식이 사망한 후 그 상속인 중 국내에 거주하는 처인 원고 구갑주, 장남인 소외 김영진, 장녀인 원고 김영례(이하 국내상속인들이라 한다)와 일본에 거주하는 차녀인 원고 김경자, 차남인 원고 김영생, 3녀인 원고 김 혜, 3남인 원고 김영수(이하 재일상속인들이라 한다)가 상속재산 중 국내에 있는 재산은 국내상속인들이, 일본에 있는 재산은 재일상속인들이 각 가지기로 협의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와 같이 위 망 김경식을 국내거주자로 볼 수 없어 상속세법 제2조 제2항에 의하여 국내에 있는 상속재산에 대하여서만 상속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국내에 있는 상속재산을 기준으로 총세액을 산출하고, 이는 국내에 있는 상속재산을 가지기로 한 국내상속인들이 납부하여야 할 것이라고 하여 그 중 원고 구갑주, 김영례가 그들의 법정상속분 비율에 따라 납부하여야 할 세액을 계산하여 이 사건 과세처분 중 원고 구갑주, 김영례에 대한 위 세액을 초과하는 부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하는 한편, 재일상속인들인 원고 김경자, 김영생, 김 혜, 김영수는 국내에 있는 상속재산을 가지지 않기로 하였으므로 이 사건 과세처분 중 위 원고들에 대한 부분은 전부 위법하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 보면 위와 같은 협의분할이 있었다는 원심의 사실인정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며, 그 판단 또한 위와 같은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에 위배하고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사실을 오인하였거나 상속세법 제18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 역시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총1건정렬갯수 선택
정렬갯수 50 100 150
총1건
판례 검색결과 목록 번호 요약정보
1 상속세등부과처분취소 [대법원 1994.11.11, 선고, 94누5359, 판결]
가. 상속재산을 협의분할한 경우 상속인이 납부하여야 할 세액나. 국내거주자가 아닌 피상속인의 상속재산 중 국내에 있는 재산을 가지지 않기로 협의분할한 상속인에 대한 상속세 과세처분이 위법하다고 한 사례
'세금을 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form invoice 외 (0) | 2012.03.14 |
---|---|
유류분 (0) | 2012.03.13 |
송달장소의 변경 (0) | 2012.03.08 |
이자소득만 있는 비영리법인신고용 (0) | 2012.02.23 |
조세특례제한법제7조관련 (0) | 201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