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작성하기(2)
인용(Quotation)
1. 인용문 기입이란?
인용문이란 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남의 글이 꼭 필요할 때 따오는 것을 말한다.
2. 인용시 유의 사항
(1) 주제에 맞는 인용할 충분한 강치가 있는 자료여야 한다.
(2) 합리적으로 조화시켜야 한다.
(3) 인용의 근거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4) 근거는 인용자가 직접 입수, 확인한 것이어야 한다.
(5) 인용문은 되도록 짧게 쓴다.
3. 직접인용
3행 이상 되는 인용문구는 줄을 바꾸고 인용문 전체를 좌우로 4칸의 간격을 두고 시작하여 좌우 모두 2칸을 두며, 작은 글씨로 적는다.
4.간접인용
남의 글을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본인의 말로 바꾸어 인용하는 것을 말한다.
각주(Font Note)
1. 각주의 목적
(1) 증거자료의 정당성을 밝히기 위해서 널리 알려지지 못한 사실에 대한 모든 중요한 서술은 그 정당성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자료에 의하여 뒷받침되어야 한다.
(2) 참고로 한 사실을 밝히기 위하여 중요한 사실의 언급, 인용 등 다른 저자로부터 차용한 추론에 대해서는 각주를 달아야 한다. 이는 직접 인용은 물론 간접인용도 마찬가지이다.
(3) 본문에서 다루기 곤란한 문제를 처리할 때 사용한다.
2. 각주의 종류
(1) 참조주
① 인용 참고한 자료의 출처를 밝힘으로써 논지의 정당성, 입증의 정확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 즉 방증을 목적으로 한다,
② 참고한 자료, 참고한 남의 이론이나 주장에 대하여 출처를 밝히는 것은 또한 독자에 대한 봉사, 그리고 원저자에 대한 예의의 표현이다.
(2) 내용 주
본문의 내용을 부연할 때 이것을 따로 떼어 내어 설명하는데 사용한다. 불필요한 내용 주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3. 각주 번호
참고 복원이 끝나는 부분에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예)... ... 하였다는 것이다.‘1
... ... 그럴 수가 있다.‘1
공정으로서 정의‘1 에 의하면
4. 첫 번째 주(완전주)
(1) 단행본
각주 자기의 기본적인 사항을 순서대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 저자 (서명 : 부제) (출판도서 : 출판사, 년도) p.인명페이지
① 저자 편자 또는 역자의 이름
저자가 복수 일대 3일까지는 정부 기재하고 4인 이상일 경우에는 표제지에 열거된 맨 처음만을 적고, 동양인명이면 ‘등’,‘외3명 등으로 표기하고 서양인이면 ‘et al’.을 붙여서 단독저서가 아님을 표기한다.
② 편저일 경우
저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기하나 이름 뒤에 국문인 경우 編, 영문인 경우는(ed.)를 삽입하여 편저임을 표기한다.
(영문의 편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는 eds.임)
③ 역저일 경우
원저자 이름 다음에 슬래쉬(/)로 표기하고 역자를 표기한다.
Giovani Sartori/이행 譯,(민주주의론의 재조명)
④ 서명
* 단행본의 서명한 표제에 있는 대로 적을 것
* 서명에 부제가 있을 때는 주제 다음에 콜론(:) 찍고 부제를 쓸 것.
* 서명은 꺽음표([ ])를 사용한다.
⑤ 업서명과 권수
여러 권으로 된 업서(Series)인 경우에는 서명 다음에 콤마(,)를 찍고 업서명을 표시한다(반드시 표기할 필요는 없음) 업서명 다음에는 그 책이 차지하는 권이나 호를 붙인다.
⑥ 편차
초판(1st ed.)이 아닌 경우에는 편차를 서명에 적는다.
⑦ 출판사항
(출판 도시: 출판사, 년도)순으로 적고 괄호를 묶는다.
⑧ 인용한 페이지 표시
* 한면만 이용한 경우 : p.13과 같이 표기하고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
* 두 페이지 이상을 인용한 경우에는 pp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20에서 21페이지까지 인용한 경우에는 pp,20f. 로 표기하는 방법도 있으나 가급적 pp.20-21.과 같이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⑨ 인용한 책이 2권 이상일 경우 세미콜론(;)을 계속하여 쓴다.
(예: 홍길동,[정치학]) (서울: 길동출판사,1994,p.11 ; 전우치,[한국정치] (서울: 정치사,1994,pp.140-145)
⑩ 주로 한권을 주로 인용하고 따른 여러 가지 책을 부차적으로 인용하는 경우에는 앞에 주로 인용한 책명을 표기하고 뒤에 부차적인 참고서적을 열거한다.
(예1: 이연걸,[한국민주주의론] (서울: 민주사, 1994),p.111-112 ; 참조, 이극찬, [정치학] (서울 법문사,1994).p.111; 한승주,[정치경제학](서울:서울사,1994.p.117)
(2) 논문집 및 여러 논문을 편집한 단행본
논문집 및 여러 논문을 편집한 단행본에서 특정한 논문만을 인용할 경우의 기본적인 기입순서는 다음과 같다
논문의 저자,“논문명 : 부제”, 편저자ed.,[논문집 혹은 서명],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 년도), 인용페이지
(예: 박지숙,“한국권위주의 연구” 김기옥 편, [한국화], (서울: 한국사,1994),p 1170
그러나 정간물의 경우에는 편저자를 생략할 수 있다.
(예: 박한얼,“한국의 부패정치”, [한국정치학회보],제23호, (서울: 한국 정치 학회,1993)p115
기타의 경우에는 단행본의 이에 따른다.
3) 영문의 경우
이름을 앞에 성을 뒤에 기록하고 서명은 이테릭체(ithelic)로 표기한다.
(예: G. Sartori, Eqeuland Sameness(L.A:California Univ. Pr.1994),P.1
4) 잡지 및 신문의 경우
잡지 저자 및 출판사의 이름을 생략할 수 있으며, 신문의 경우에서는 저자, 출판사, 페이지를 생략할 수 있다.
예) [한겨례신문], 8월 18일
예) Time, JULY 21,1994
예) [말], 1994년 8월, p. 123
5. 반복적(간편주)
반복주란 함은 이미 앞의 주에서 언급한 각 주에 등장한 문헌들을 알아볼 수 있는 한 최소한도로 간편화 하는 것을 뜻한다.
(1) 연속된(바로 앞에서 언급한) 문헌과 동일한 경우
① 단행본의 경우
저자, 서명 등 모든 것을 생략하고 앞의 책과 동일하다는 사실과 인용한 페이지만을 밝힌다.
예1): (주3) 박한얼, [한국정치론] (서울:1994),p.120.
(주4) [앞의 책]., p. 127.(인용한 페이지는 다른 경우)
(주4) [앞의 책], p. 127.(인용한 페이지도 동일한 경우)
예1): (주3)lbid., p. 127.(인용한 페이지가 다른 경우)
(주4)lbid. p. 127.(인용한 페이지도 동일한 경우)
* 이 경우 예1)은 우리말 식으로 예2)는 영문식으로 표기한 것인데, 예1)과 같이 우리말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② 논문의 경우
논문은[앞의 책]이라는 표현대신에 “앞의 글” 이라는 표현을 쓴다.
예1): [주4] ‘앞의 글“.p.127.
(2) 연속되지 않는 경우
이 경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논문 전체적으로 동일한 저자의 저서를 한권만 인용한 경우와 두 권 이상인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두 권 이상인 경우 그 저서들이 모두 출판년도가 다를 경우와 동일한 출판년도일 경우도 세분해서 포기하여야 한다.
① 한권인 경우
저자와 인용한 페이지만을 표기한다.
예1) 박한얼, [앞의 책],p.127.(국문서적의 경우)
예1) 박한얼, op. cit, p. 127.(영문서적의 경우)
* 즉 바로 앞의 책을 연속 인용하는 경우에는 ibid를 그렇지 않고 앞에서 인용한 경우(예: 앞의 주 이전에서 인용한 경우)는 op. cit.를 쓰는 것이 원칙이나 ibid로 써도 상관없다..
② 두권 이상이고 출판년도가 모두 다른 경우
저자, 출판년도, 그리고 인용한 폐지를 표기한다(예를 들어1994년에 출간된 [한국 정치론]과 1993년에 출간된[한국산업정치]라는 책이 있을 경우)
예1) 박한얼, [앞의 책] (1993), p. 127.([한국산업정치]를 인용한 경우)
예2) 박한얼, [앞의 책] (1994), p. 100.([한국정치론]을 인용한 경우)
* 이 경우 출판년도를 서명 앞에 두는 경우도 있다
③ 두 권 이상이고 동일한 출판년도가 있는 경우
저자, 서명, 그리고 인용한 페이지를 표기한다.
예) 박한얼, [한국의 권위주의], p. 110
5. 설명 및 인형을 겸하는 주
아래와 같이 설명과 인용을 겸하여 각각의 이론의 대표자들과 그 출처를 밝힌다.
예) 정치발전과 경제성장의 관계에 대하여는 ‘정비례설’, ‘무관설’, 그리고 ‘반비례설’이 있다. ‘정비례설’은 박한얼,[정치와 경제] 9서울:한얼사,1994).p.127, ‘무관설’은 조덕팔,[정치,그리고 경제,경제는 경제](서울:종팔사,1994), pp.127-129,그리고 ‘반비례설’은 김종팔,[정치는 정치, 경제는 경제] (서울:종팔사,1994), p129를 각각 참고할 것.
참고문헌(Bibriography)
참고문헌은 논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흔히 박사 논문의 경우 목차와 서론 그러고 참고문헌만 보면 그 논문을 평가 수 있다고들 하는데 이는 논문을 작성하는데 그 주제와 서론에서 밝힌 내용들에 적합한 문헌을 참고하였는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참고 문헌을 작성하는데 주의 할 점은 단행본 논문, 잡지 및 신문의 세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작성하며 국문을 앞에 외국문헌을 뒤에 위치시키며, 저자별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또한 저자와 서명 뒤에는 ‘마침표(.)’로 표기하고 출판사항의 괄호를 풀고 인용한 페이지는 적지 않는다.
1. 국문의 경우
(1) 단행본(서명을 이중 꺽음표({ })로 표기한다.
각주 예) 박한얼, [한국의 산업정치] (서울: 한얼사, 1992)p.127.
참고문헌) 박한얼,[한국의 산업정치] ,서울: 한얼사, 1992.
(2) 논문
① 학습지에 게제 논문 (논문명을 꺽음표([ ])로 표기하고 논문집 명(서명)을 이중 꺽음표({ })로 표기한다.
각주 예) 박한얼,“한국산업정치의 미래”,[한국정치학회보], 제23집 제2호. (서울 : 법문사, 1997).p 11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한국정치학회보}. 제23집 제2호, 서울 : 법문사, 1997
② 편저자와 논문의 저자가 다른 경우
각주 예)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김종팔 편,[한국정치론]
(서울: 법문사,1997).p.127.
참고문헌) 박한얼.[한국산업정치의 미래] 김종팔 편.{한국정치론}
서울: 법문사, 1997
③ 학위 논문의 경우
각주 예)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한디대:섯사논문,1994),p.12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한디대 : 석사논문, 1994
(3) 잡지 및 신문
① 신문 (3편를 기준으로 3편 미만인 경우는 일자를 열거하고 이상인 경우에는 맨 앞의 일자만을 표기하고 “외X편으로 표기한다.
각주 예) [한겨레 신문] 1994년 8월 15일자
참고문헌) {한겨레 신문},1994년8월 15일자,1994년 9월 6일자. 3편 미만)
{한겨레 신문}1994년 8월 15일자외 2편(3편 이상)
② 잡지(3편을 기준으로 3편 미만인 경우는 일자를 열거하고 이상인 경우에는 맨 앞의 일자만을 표기하고 “외X편”으로 표기한다.
각주 예) [말] 1994년 8월호, p170
참고문헌) {말}, 1994년 8월호, 1994년 10월호.(3편 미만)
{말}, 1994년 8월호외 2편(3편 이상)
2. 영문인 경우
영문의 경우에는 저자에 있어서 성과 이름의 위치를 바꾼다. 즉 우리말과 같이 성을 앞에 이름을 뒤에 위치시키며, 각주에 First Name을 약자로 표기한 것을 되도록이면 FullName으로 표기한다.(그러나 약자도 무방함)
(1) 단행본
각주 예) K. mAX. Cambridge Univ. Pr., 19900, p.117
참고문헌) Mark, Karl. Capital. N. Y.: Cambridge Univ. Pr., 1990.
(2) 논문
① 학술지
각주 예) Jean-Fran ois, Lyotard,"Answering The Question : What is Postmodernism?",in Political Theory.(Wisconsin: The Univ. of Wisconsin Pr.,1983),pp.13-14
참고문헌) Lyotard, Jean-Fran ois. "Answering The Question : What is Postmodernism?",in Political Theory. Wisconsin: The Univ. of Wisconsin Pr.,1983
② 편저 (논문의 저자는 우리식으로 편저자는 서양식으로 표기한다. 다만 편저자 다음에 (ed.)를 붙여서 편저임을 표기한다.)
각주 예) Jean-Fran ois, Lyotard,"Answering The Question : What is Postmodernism?",in l. Hassan (ed.) Political Theory.(N.Y. : New York Univ. Pr.,1983),pp.13-14
참고문헌) Lyotard, Jean-Fran ois. "Answering The Question : What is Postmodernism?",in l. Hassan (ed.) Political Theory. N.Y. : New York Univ. Pr.,1983.
* 논문의 경우 그 논문을 포함하고 있는 단행본 또는 학술지 명을 in으로 표기하여 줌이 원칙이다.
③ 신문 및 잡지는 국문과 동일한 식으로 포기하되 월-일, 년도 순으로 표기한다.
각주 예) Time, July 19, 1994, p.12
참고문헌) Time, July 19, 1994.
워드 프로세서로 논문 작성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워드프로세스(아래 글97)을 기준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1. 본문
(1) 용지=A4
(20 여백주기
① 위쪽 : 20,
② 아래쪽 : 30
③ 왼쪽 : 40
④ 오른쪽 : 40
⑤ 머리말 : 15
⑥ 꼬리말 : 15
(3) 문단 모양
① 왼쪽여백 : 0
② 오른 여백 : 0
③ 들여쓰기 : 0
④ 줄 간격 : 170-200
⑤ 문 단 위 : 0
⑥ 문단아래 : 0
⑦ 낱말간격 : 0
⑧ 정렬 방식 : 혼합
(4) 글 크기=11
(5) 각주의 글 크기=10
2. 각주
(1) 문단 모양
① 왼쪽여백 : 4
② 오른여백 : 0
③ 들여쓰기 : -4
④ 줄간격 : 125-130
⑤ 문단위 : 0
⑥ 문단아래 : 0
⑦ 낱말간격 : 0
⑧ 정렬방식 : 혼합
(2) 각주 기재요령
① 1- 9번까지의 1단위 번호
각주에서 번호를 한 칸 뒤로 밀고 관로를 치고 한 칸 띄우고 각주를 입력한다.
② 10번 이후의 번호
각주에서 번호를 뒤로 한 칸 밀지 않고 괄호를 치고 한 칸 띄우고 각주를 입력한다.
3. 각 제목 크기
보통 제목의 수를 세가지로 분류하여 기록할 경우
한국의 미래 (18호)
1.오늘과 내일 (15호)
(1) 오늘 (12호)
'문학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래가 위로다 (0) | 2017.09.28 |
---|---|
반디앤루니스 서적 벌거숭이들 (0) | 2017.09.04 |
변양균 著 "노무현의 따뜻한 경제학" (0) | 2012.01.14 |
이 책도 사서 읽어봐야겠다... (0) | 2012.01.09 |
스배덴보리의 감동적인 천상여행기 "스덴보리의 위대한 선물" (0) | 2011.11.02 |